반응형 경제금융용어4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81~85) 김승호 회장(작가)님이 '돈의 속성' 책에서 언급한 경제금융용어에 대한 공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세상을 어떤 눈으로 바라볼지 그리고 그 세상을 어떻게 이해할지는 모두 본인에게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경제금융용어를 모른다면 경제시장을 바라보는 눈이 어두컴컴할 수 밖에 없겠죠. 그리고 모든걸 감각으로만 느껴야 할 것 같습니다. 경제금융용어를 시작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키워 경제적자유를 이루시길 희망합니다. 81. 증거금 증권 현물을 거래할 경우 또는 선물/옵션을 거래할 경우에 매매당사자 일방 또는 매매당사자 쌍방이 매매약정을 이행한다는 증거로 중개회사에 예치하는 금액을 말한다. 주식 현물매수 주문시 사고자 하는 주식 매입금액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증거금으로 미리 예치해야 하며 나머지 대금은 매수.. 2023. 2. 6.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6~80)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경제금융용어 중 100선을 선정하여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주식 공부할 때 보던 낯익은 용어들이 보이네요. 이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의 경제적 자유를 응원합니다. !!! 76. 주가수익비율(PER) 주가가 실제 기업의 가치에 비해 고평가되어 있는지, 아니면 저평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활용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주가수익비율(PER; Price Earning Ratio)이 있다. PER는 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이익(EPS; Earning Per Share)으로 나눈 값으로, 해당기업의 주가가 그 기업 1주당 수익의 몇 배 수준으로 거래되는지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특정 기업의 현재 PER가 과거 추이 또는 수익구조가 유사한 타기업 등과 비교해 높을 경우 주가가 기업가.. 2023. 2. 5.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1~75) '금융을 이해한다는 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룰을 이해하는 것과 같다.' 라는 말에 대해 들어보신적 있으신가요? 제가 경제금융용어를 공부하는 이유이기도 한대요. 용어부터 하나씩 익히고 시장경제에서 살아남아 꼭 경제적 자유를 이루시길 희망합니다. 71. 장단기금리차 장단기금리차란 일정 시점에서 장기금리와 단기금리의 차이를 의미한다. 장단기금리차는 다양한 만기의 지표금리를 이용해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시점에서 국고채금리(3년 만기)가 2.0%이고 한국은행 정책금리(1~7일 만기)가 1.5%라면 여기서 장단기금리차는 0.5%p(2.0%-1.5%)이다. 또는 10년만기 국고채금리와 3년만기 국고채 금리의 차이도 또 하나의 장단기금리차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의 장단기는 통상 1년을 기준으로.. 2023. 2. 4.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61~65)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중요한 100선 용어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선정기준은 돈의 속성 김승호 저자가 추천한 꼭 알아야 할 용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방준비제도, 예대율, 옵션, 외환보유액, 워크아웃 용어입니다. 61. 연방준비제도(FRS)/연방준비은행(FRB) 연방준비제도(FRS; Federal Reserve System)는 1907년 금융공황 후 그 대책으로서 1913년에 제정된 연방준비법(Federal Reserve Act)에 의해서 창설된 미국 특유의 중앙은행제도이다. 동 제도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Board of Governors)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를 정점으로 이들을 지원하는 본부와 12개 지역 연방준비은행(.. 2023. 2.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