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 지식21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96~100)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엄선된 100선에 대한 마지막 포스팅입니다. 경제를 바라보는 눈이 생긴 기분이 들어요.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무엇인지도 느껴지는 나날이었습니다. 주저하지않고 정진하여 이글을 읽으시는 독자여러분 모두가 경제적 자유를 이루시길 희망합니다. '돈의속성' 김승호 작가님이 추천해주신 단어는 M&A 까지입니다. 나머지 4개(비트코인, 4차산업혁명, 출구전략, 핀테크)는 제가 선정하여 경제금융용어 100선 마지막 포스팅을 업로드합니다. 96. M&A 기업경영의 효율성 제고와 시너지효과 창출 등을 위해 외부경영자원을 활용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인수합병’으로 불리고 있다. M&A(Mergers & Acquisitions)의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주식인수, 기업합병, 기업분할, 영업양수도 등.. 2023. 2. 9.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91~95) 돈의 속성에서 나온 ' 자본주의사회에 살면서 내 자산을 증식하고, 지키려면 실제적인 경제교육이 선행되어야한다. 배움의 시작은 용어의 이해부터이며, 경제금융의 지식은 자본주의사회에서 생존과 직결되어있다.' 라는 말을 되새기며 포스팅 이어갑니다. 힘내세요. 끝이 보입니다. 사실은 이제부터 시작이지만요. 91. 평가절하 환율은 일반적으로 거래 대상물인 외국환(외국통화) 한 단위와 교환되는 자국통화의 양으로 정의되고 있는데, 원화절하는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여 외환의 가치가 상승하고 원화의 가치는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이때 환율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환율상승 또는 평가절하라고도 말한다. 그러나 평가절상(revaluation)이나 평가절하(devaluation), 또는 절상(appreci.. 2023. 2. 8.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86~90) 많은 사람들이 결과지향적이고, 달콤한 열매만 원하고 있을 뿐 과정에서의 고통과 시간은 생각하지 못하는 것 같아요. 저도 과거에 그랬던 것 같습니다. 경제적자유를 원한다면 그에 상응하는 피나는 노력과 자기단련, 실패가 기다리고 있을 것입니다. 당연히 이겨낸 자만 달콤한 열매를 맛볼 수 있겠지요. 그렇게 생각하며 오늘도 공부합니다. 86. 콜옵션 콜옵션(call option)이란 거래당사자들이 미리 정한 가격(행사가격, strike price)으로 장래의 특정 시점 또는 그 이전에 일정자산(기초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계약이다. 거래대상이 되는 자산은 특정주식, 주가지수, 통화, 금리 등 매우 다양하다. 콜옵션 매도자로부터 동 자산을 매입할 수 있는 권리가 콜옵션 매입자에게 부여되는 대신 콜옵션.. 2023. 2. 7.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81~85) 김승호 회장(작가)님이 '돈의 속성' 책에서 언급한 경제금융용어에 대한 공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세상을 어떤 눈으로 바라볼지 그리고 그 세상을 어떻게 이해할지는 모두 본인에게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경제금융용어를 모른다면 경제시장을 바라보는 눈이 어두컴컴할 수 밖에 없겠죠. 그리고 모든걸 감각으로만 느껴야 할 것 같습니다. 경제금융용어를 시작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키워 경제적자유를 이루시길 희망합니다. 81. 증거금 증권 현물을 거래할 경우 또는 선물/옵션을 거래할 경우에 매매당사자 일방 또는 매매당사자 쌍방이 매매약정을 이행한다는 증거로 중개회사에 예치하는 금액을 말한다. 주식 현물매수 주문시 사고자 하는 주식 매입금액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증거금으로 미리 예치해야 하며 나머지 대금은 매수.. 2023. 2. 6.
반응형